반응형

네이버 웹 페이지 수집 / 구글 Fetch As Google / 티스토리 검색 / 네이버 검색 / 구글 검색 /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 / 구글 웹 마스터 도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네이버 웹 페이지 수집과 구글의 Fetch As Googl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까지 웹 마스터 도구를 통해 검색엔진에서 검색이 되도록 설정하였는데요.

하지만 이를 한다고 해서 바로바로 업데이트가 되는 것이 아니라 검색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바로 업데이트 해줄 수 있는 것이 이번 포스팅의 주제입니다.


매우 간단하고 쉽게 하실 수 있으니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1. 네이버 웹 페이지 수집


2. 구글 Fetch As Google







1. 네이버 웹 페이지 수집


우선 웹 페이지 수집에 앞서 어떤 페이지를 수집할 것인지 확인을 하여야 합니다.

저의 경우 해당 페이지를 등록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주소 창의 주소만 있으면 됩니다.

(https://goodplayer.tistory.com/20)







그리고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의 [요청] - [웹 페이지 수집]에 들어가셔서 원하는 주소를 입력하시면 수집이 완료됩니다.

이때, 모바일도 같이 등록하실 경우 https://goodplayer.tistory.com/m/20 과 같이 등록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정상적으로 수집이 완료되었다면 수집완료 라는 문구를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2. 구글 Fetch As Google



이번엔 구글의 경우 입니다. 네이버와 매우 유사하니 쉽게 따라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구글 웹 마스터 도구에 접속하셔서 왼쪽 탭에 이전 버전으로 이동을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이후 [크롤링] - [Fetch As Google]을 눌러 원하는 주소를 입력하여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등록되었다면 색인 생성 요청을 눌러 줍니다.

그 후 그림과 같이 항목을 체크하시면 됩니다.








이제 검색엔진에서 검색이 되도록 하는 모든 설정은 끝이 났습니다. 

고생많으셨습니다. 블로그 운영에 도움이 되셨는지모르겠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에 있어 두려움이 없어졌으면 합니다.



이상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티스토리 사이트맵 / 네이버 사이트맵 / 구글 사이트맵 / 사이트맵 등록 / 웹 마스터 도구 / xml 만들기 / naver sitemap / google sitemap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에 있어 네이버와 구글 웹마스터 도구의 사이트 맵 (site-map) 등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선 포스팅을 통해 네이버와 구글의 검색등록을 하셨을텐데 아직 안하셨다면 먼저 하시고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티스토리 구글 검색 등록 : https://gongple.tistory.com/3 


티스토리 네이버 검색 등록 : https://gongple.tistory.com/4




사이트맵 등록에 앞서 사이트맵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이트맵이란 해당 사이트(저흰 블로그가 되겠죠.)에 게시된 동영상, 파일, 이미지, 기타 파일과의 각각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데요. 이를 통해 검색 엔진이 해당 파일을 읽어 검색에 있어 조금 더 지능적으로 크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사이트의 업데이트나 버전, 언어, 동영상의 경우 길이, 적합성 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말이 참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있는데,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사이트맵이 해당 페이지의 정보를 저장하여 검색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넘어와 사이트 맵 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이트맵

1-1. 사이트맵 제작

1-2. 사이트맵 주소


2. 네이버 사이트맵 등록


3. 구글 사이트맵 등록






1. 사이트맵

1-1. 사이트맵 제작


사이트맵은 xml확장자로 된 파일을 자신의 블로그에 등록하여 이의 링크를 가져와 웹 마스터 도구에 등록하는 것인데요. 

제일 중요한 xml 파일 생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링크를 통해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www.web-site-map.com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텐데 그림과 같이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합니다.










다음 설정은 그림과 같이 클릭하시고 제일 하단의 Create free XML Sitemap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다면 다음과 같은 그림이 나타날텐데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경로는 본인이 원하는 위치에 저장을 하신 후 글쓰기 항목으로 넘어 갑니다.




1-2. 사이트맵 주소





제목은 아무거나 입력하시고, 비공개로 글을 발행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아까 만든 xml파일을 파일 첨부를 통해 등록을 하시고 발행하시면 됩니다.

(미리보기를 하셔도 무방합니다.)







정상적으로 발행이 되었다면 그림과 같은 화면입니다.

파일에서 오른쪽버튼을 눌러 링크 주소복사를 누른 후 메모장이나 자신이 저장해둘 수 있는 곳에 저장해 둡니다.






저희가 필요한 부분은 http://goodplayer.tistory.com/attachment/~~~.xml 입니다.






2. 네이버 사이트맵 등록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사이트맵 제출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해당 항목에 방금 찾아낸 주소를 넣어주시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3. 구글 사이트맵 등록


구글도 네이버와 마찬가지입니다. 구글 웹 마스터 도구를 통해 사이트맵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이상 사이트맵 생성부터 네이버와 구글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이트맵이라는 생소한 것을 만들고, 각 사이트에 등록하지만 생각보다 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차근찬근 따라오시면 하시는데 큰 문제는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수정사항, 질문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


이상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Tistory] 티스토리 네이버 검색 등록 / 네이버 RSS 등록 / 티스토리 검색 등록 / tistory 검색 등록 / 웹 마스터 도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구글 웹 마스터 등록에 이어 네이버 웹 마스터 등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앞서 설명 드렸듯이 티스토리에 작성한 글이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이 되기 위해 필수적인 것들인데요.

구글 웹 마스터 등록과 유사하니 금방 따라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할게요.





1. 네이버 검색 등록

  1-1.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 등록

  1-2. HTML 태그 등록


2. 네이버 RSS 등록






1. 네이버 검색 등록

  1-1. 네이버 웹 마스터 도구 등록



  네이버 웹 마스터란?

구글과 유사하게 티스토리와 같이 블로그에 게시된 글이 해당 포털 검색을 통해 검색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과 등록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ebmastertool.naver.com/




구글과 동일하게 우선 네이버 계정이 필수입니다.

해당 링크에 접속하여 로그인할 경우 다음과 같이 사이트 추가 화면을 보실 수 있는데요.





사이트 추가 부분에 본인의 블로그 주소를 기입하시면 되겠습니다.

저의 경우 http와 https 두 가지 모두를 등록하였는데요. 

두 가지를 모두 등록하는 것이 좋으니 번거롭더라도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1-2. HTML 태그 등록


등록을 하시고 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부터 중요한 부분이니 잘 따라오시면 됩니다.

(구글과 동일하니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저희가 사용할 것은 HTML 태그 부분인데요.

메타 태그라고 명시된 부분을 복사해 두시고, 해당 메타 태그는 운영 중인 블로그의 HTML 문서 내의 <head>사이에 작성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티스토리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티스토리 관리에 들어가서 스킨 편집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건데, 여기서 HTML편집을 눌러줍니다.






html 편집 화면을 보시면 3번째 줄의 <head> 이후에 <meta 로 시작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번째 줄에 방금 전 복사했던 HTML 태그를 붙여넣기 해주시면 됩니다.

(<head> ~~~ </head> 사이의 어디에든 넣으시면 됩니다.)







해당 작업을 마치고 나면 네이버 웹 마스터 등록은 끝이 납니다.

하지만 실시간 조회를 통해 'robot.txt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라는 문구가 확인될 경우 다시 웹 마스터 도구에 접속하셔서 소유 확인을 눌러주시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1. 네이버 검색 등록이 끝이 났습니다.


다음은 중요한 RSS 등록입니다.






2. 네이버 RSS 등록 


  RSS란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약자로 '매우 간단한 배급'으로 쉽게 말해 약간의 검색어를 통해 원하는 것을 쉽게 얻을 수 있게 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네이버에서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 글인 구글 RSS 등록과 유사하니 쉽게 따라오실 수 있습니다.



앞서 등록한 블로그 목록을 클릭하여 [요청] - [RSS 제출] 탭을 클릭합니다.

이후 본인 블로그 주소에 /rss 를 작성하여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예시 : gongple.tistory.com/rss)











이상으로 티스토리와 네이버 검색 등록 방법과 RSS 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의 기준으로 쉽게 만들었다고 하였으나, 따라하시는 분들이 쉽게 느껴지셨는지 ㅠㅠ

조금 더 노력하여 블로그 운영이 쉽도록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상 포스팅은 마치겠습니다.




ps. 다른 포털 사이트도 앞선 구글과 네이버의 방법과 유사하니 쉽게 등록하실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
반응형

[Tistory] 티스토리 구글 검색 등록 / 구글 RSS 등록 / tistory 검색 등록 / 티스토리 검색 등록 / 구글 웹 마스터 도구 / 티스토리 최적화 / 구글 Search Console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자신이 티스토리에 작성한 글이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 되어 여러 사용자들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티스토리의 경우 다음에 항상 검색되지만 구글이나 네이버에는 따로 등록을 해주어야 검색이 되는데요. 이번에는 구글의 경우 검색 등록 방법과 RSS 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전 포스팅인 [Tistory] 티스토리 최적화에 대한 설정을 먼저하고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1. 구글 검색 등록

   1-1. 구글 웹 마스터 도구 등록

   1-2. HTML 태그 등록

2. 구글 RSS 등록








1. 구글 검색 등록

  1-1. 구글 웹 마스터 도구 등록


  구글 웹 마스터 도구란 ?

간단히 말해 구글 측의 Search Console을 통해 블로그에 게시된 글이 구글에서 검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글에서 알려주고 있답니다.





관련 내용은 https://support.google.com/webmasters/answer/4559176?hl=ko# 해당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다시 본론으로 넘어가 구글 웹 마스터 도구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www.google.com/webmasters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으신데요. 빨간 네모의 Search Console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구글의 Search Console에 대한 화면이 나타나고, 시작하기를 통해 웹 마스터 도구를 등록할 수 있게 됩니다.





이때 구글의 웹 마스터 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글에 가입이 되어있어야만 합니다!!


로그인을 하고 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미 등록이 되어 있기에 여러분과 살짝 차이가 있어요.)

밑에 속성 추가를 누르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텐데 이곳에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셔서 등록을 하시면 됩니다.







1-2. HTML 태그 등록


여기부터 중요한 부분이니 잘 따라오셔야 합니다.


사이트 명을 적으신 후 계속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뜰텐데 여기서 저희가 필요한 것은 HTML 태그입니다.

1번 항목을 보시면 메타 태그라고 명시된 부분을 복사해 두시고 해당 메타 태그는 운영 중인 블로그의 HTML 문서 내의 <head>사이에 작성하게 됩니다.




다음은 티스토리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티스토리 관리에 들어가서 스킨 편집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건데, 여기서 HTML편집을 눌러줍니다.









html 편집 화면을 보시면 3번째 줄의 <head> 이후에 <meta 로 시작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번째 줄에 방금 전 복사했던 HTML 태그를 붙여넣기 해주시면 됩니다.

(<head> ~~~ </head> 사이의 어디에든 넣으시면 됩니다.)









아까 구글 웹 마스터 도구의 화면으로 넘어와 완료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것으로 1. 구글 검색 등록이 끝이 났습니다. 짝짝짝 


아직 완전 끝난 것이 아닌데요. RSS 등록을 해주셔야 합니다.





2. 구글 RSS 등록


  RSS란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약자로 '매우 간단한 배급' 으로 쉽게 말해 약간의 검색어를 통해 원하는 것을 쉽게 얻을 수 있게 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구글에서 등록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금 전의 Google Search Console 화면에서 왼쪽 탭을 보시면 Sitemaps라는 항목을 보실 수 있는데요. 다음 그림과 같이 주소 창 마지막에 rss를 추가하여 제출 버튼을 누르시면 끝이 납니다.







이상으로 티스토리 구글 검색 등록 방법과 구글 RSS등록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보시는 분들도 쉽게 따라올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이상 포스팅은 마치구요. 

다음 포스팅은 네이버 검색 등록에 대해 알아볼게요.





반응형
반응형


[Tistory] 티스토리 최적화 / tistory 최적화 / 티스토리 최적화 / 검색 최적화 / 웹 마스터 도구 / 구글 / 네이버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티스토리 최적화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최적화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도 많고, 어떻게 하면 최적화가 되는 지 찾아보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해 다양한 글을 올리시게 될텐데 이 글이 올바르게 올라가는 중인지, 검색을 하면 검색이 되는 것 인지에 대해 의문이 드는데요.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블로그를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시라고 글을 작성합니다.




  기본적으로 공통적인 방법들이 몇 가지 있는데요.


1. 매일 1개 이상 포스팅 하기.


2. 주제, 대표 사진, 태그 작성하기.


3. 최소 500자 이상 글 게시하기.



1. 매일 1개 이상 포스팅 하기


  포스팅을 매일 함으로써 블로그 활성화 상태나 업데이트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 검색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글을 포스팅에도 짧은 시간에 포스팅하는 것보다 일정 시간의 간격을 두고 하는 것이 게시글을 메크로로 작성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암묵적으로 알릴 수 있습니다. 하루에 많은 것들을 게시하고 싶지만 미리 저장해두었다가 하나씩 꺼내는 것도 좋습니다.




2. 주제, 대표 사진, 태그 작성하기


  글을 작성하시면 주제를 선택하는 탭과 태그를 선택하는 탭을 보실 수 있으신데요. 해당 부분들을 잘 활용하여 기입하는 것이 최적화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아무런 주제를 선택하지 않거나, 태그를 설정해두지 않을 경우 많은 불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이 점 참고 하시구요.

대표 사진의 경우 보통 3장 이상을 올리는 것을 추천 드려요. 네이버 같은 경우 블로그 검색 시 사진이 띄워지고 옆에 게시글에 대한 제목과 정보고 표시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이렇기에 이런 사소한 부분도 신경 써주시면 됩니다.




3. 최소 500자 이상 글 게시하기


  보통 1000자 이상 글을 기입하여 작성하라고 하지만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500자 이상이여도 충분하지만, 이후에 구글 애드 센스를 위해서 1000자 이상 작성하여 게시하는 것도 좋습니다.

(애드 센스 기준이 1000자 이상이여야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등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런 것 외의 블로그 자체적이나 외부적으로 설정하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티스토리 설정


2. 구글 검색 등록


3. 문서 제목 설정




1. 티스토리 설정



  우선 티스토리 설정으로 들어가셔서 [콘텐츠] - [설정] 탭을 들어가서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음으로 밑에 [관리] - [블로그] 탭에 들어가신 후 다음과 같이 RSS를 설정합니다.








티스토리 전체적인 설정은 이렇게 되는데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세부 설정은 편하신 대로 설정하시면 되겠습니다.








2. 구글 검색 등록



  구글 검색 등록을 하기 위해선 다음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www.google.co.kr/intl/ko/add_url.html









  자신의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시고, 간단한 설명을 기입하신 후 URL 등록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매우 간단한 방법이죠! 구글의 계정은 필수입니다!

(해당 내용은 다음 포스팅인 구글 웹 마스터 도구와 연관되므로 미리 설정하셔도 되고 다음 포스팅을 이어서 하셔도 됩니다.)






3. 문서 제목 설정


  보통 게시글을 작성하시거나 블로그를 검색하게 되면 블로그 제목과 이름이 같이 뜨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럴 경우 검색어에 의한 필터링으로 검색에 혼동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하시면 해당 제목만 검색되어 좀 더 검색 결과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관리 설정으로 가셔서 [스킨 편집] - [html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다른 부분은 건드리지 마시고 4번째 줄의 <title>항목만 다음과 같이 바꾸어 주시면 됩니다.

기존의 '티스토리' 카테고리의 글 목록 : : goodple 해당 부분을 '티스토리' 카테고리의 글 목록만 남겨주시면 되겠습니다.





이럴 경우 검색 시 제목만 검색되겠죠!





이렇게 이번 티스토리 최적화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여도 대표적인 포털인 구글이나 네이버에 검색이 되지 않는데요.


해당 포털들은 따로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음 포스팅은 구글과 네이버 검색 등록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