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동영상 다운 / 크롬 동영상 다운로드 / 크롬 확장 프로그램 / chrome download / 크롬 음원 저장 / chrome video download
안녕하세요 이번에 포스팅은 크롬을 통한 동영상 다운로드 입니다.
크롬은 구글에서 개발한 프리웨어 웹 브라우저인데요. 인터넷을 사용하게 해주는 검색 엔진입니다.
(인터넷 익스플로어 역시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지원해주는 웹 브라우저랍니다.)
크롬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의 동영상을 다운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크롬의 확장 프로그램을 통한 다운로드 방법과 직접적으로 다운로드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크롬 확장 프로그램
2. 크롬을 통한 웹 페이지 이용
1. 크롬 확장 프로그램
크롬 확장 프로그램의 경우 크롬의 설정을 개인이 만든 프로그램을 통해 브라우저를 수정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구글 계정을 등록된 사용자라면 누구나 자신이 개발한 확장 프로그램을 올려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롬 웹 스토어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받아 사용할 수 있는데 다음은 해당 링크입니다.
해당 링크에 접속하면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을 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용한 확장 프로그램들이 많지만, 해당 포스팅의 주제는 동영상 관련이기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만 간략히 살펴 보겠습니다.
크롬 웹 스토어 검색을 통해 확장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개인이 원하는 주제를 통해 검색도 가능하니 편리하게 사용해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번 포스팅의 주제인 동영상 다운의 경우 많은 확장 프로그램이 존재합니다.
그 중 가장 많은 다운로드 수와 인기순 중 크게 3가지 정도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해당 확장 프로그램들은 비디오나 음악 파일을 추출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SNS의 파일도 추출이 가능하니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측의 Chrome에 추가 버튼을 통해 확장 프로그램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후 우측 상단에 해당 프로그램이 추가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후 다운로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상이나 음원을 추출해 낼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UI로 충분히 이해되므로 길게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2. 크롬을 통한 웹 페이지 다운
다음은 위의 확장 프로그램이 작동이 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해당 방법은 제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일 간단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다운을 위한 동영상 사이트에 접속한 후 F12버튼이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의 검사를 눌러줍니다.
다음과 같은 창에서 맨 위의 [Network] 탭을 누른 후 중간의 [Media] 탭을 눌러 줍니다.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이 해당 영상이 목록에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동영상에 해당하는 목록을 더블 클릭이나 오른쪽 버튼을 통한 새로운 창으로 띄우신 후 동영상을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다운로드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를 통해 동영상을 다운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때 다수의 동영상이 재생 중이거나 원하는 영상이 어떤 영상인지 구분이 불가능할 경우 탭의 size와 Waterfall 부분의 수정내역을 통해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도저히 구분이 가지 않는다면 모든 목록을 클릭하셔서 확인하셔도 됩니다.)
이상으로 크롬을 통한 동영상 다운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ps.
영상이나 음원은 엄연히 개인이나 단체의 저작물이며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단순히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지 이를 통해 사용이나 악용하여 발생하는 법적인 문제는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주석에 적힌 것과 동일하게 차례대로 from, nonce, gasPrice, gasLimit, to, value, data 순으로 파라미터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소스 코드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 링크해두겠습니다.)
트랜잭션 시 첫번째 계좌에서 두번째 계좌로 트랜잭션이 발생하도록 하였고, data 전송이 목적이기에 나머지 값들은 null로 지정하여 전송하였습니다. null로 하여도 무방합니다.
// string to hex public String toHex(String arg) { return String.format("%x", new BigInteger(1, arg.getBytes())); }
해당 소스는 data 값이 hex값으로 저장되어야 하기에 string 값을 hex 값으로 변환해주는 코드입니다.
//트랜잭션 발생 및 트랜잭션 해시 저장 EthSendTransaction ethSendTransaction = web3.ethSendTransaction(transaction).sendAsync().get(); hash = ethSendTransaction.getTransactionHash();
EthSendTransaction을 통해 트랜잭션을 발생시키고, 이에 해당하는 해시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geth자체서버에서 구동하는데에 관련된 자료와 웹 서버의 코드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명령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채굴
2-1. 채굴이란?
채굴 혹은 마이닝이라 불리는데 블록 체인 서버 내의 블록이 계속해서 생성되는데, 이 블록에 해당하는 해시를 찾아내는 작업을 채굴이라 합니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코인을 지급하며 채굴의 난이도가 높아지거나 블록의 수가 많아질수록 블록에 대한 해시를 찾아내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기에 코인의 가치는 상승하게 됩니다.
ps.
블록에 대한 해시를 찾아낼 경우 해당 블록에 대한 정보 즉, 트랜젝션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51% 공격이라 하여 모든 블록의 51%이상의 해시를 얻어내면 공격이 가능하다는 공격 기법이 있습니다.
코인이 큰 가치가 있다 보니 채굴기에 대한 영향력도 커졌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채굴기가 발생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채굴에 뛰어들어 큰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올해 초부터 망해가고 있지만.....
2-2. 채굴
geth 서버에서 채굴을 해보도록 합시다.
miner.start(n) : 채굴 시작. n은 쓰레드 개수를 의미합니다.
miner.stop() : 채굴 종료.
eth.mining : 채굴 여부 확인. true or false.
이상으로 geth 명령어 및 채굴에 대한 포스팅은 끝이 났습니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안드로이드를 이용하여 geth 서버에 접속한 후 트랜젝션을 발생 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즉, 모바일을 통해 생성된 정보들이 블록 체인에 저장되어 좀 더 안정된 정보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Ethereum] - 블록 체인과 Ethereum이란? / 이더리움 / 블록체인 / Ethereum / Blockchain / 채굴 / geth / 서버 구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블록 체인의 기술 중 하나인 이더리움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비트코인으로 떠들썩했던 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인데요.
블록 체인이 어떤 것인지 그리고 앞으로 포스팅될 내용인 이더리움을 통한 프라이빗 망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1. 블록 체인
1-1. 블록 체인이란?
1-2. 블록 체인의 구조
2. 이더리움
2-1. 이더리움이란?
1. 블록 체인
1-1. 블록 체인이란?
블록 체인은 흔히 말하는 분산 데이터 장부라고 불리며 비트코인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이들은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블록들이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고 해서 블록 체인이라고 명칭하게 되었습니다.
블록 체인은 모든 블록에 거래 과정 즉, 트랜젝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누구나 해당 정보를 열람을 할 수 있지만, 변경이 불가능하여 보안성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비트코인은 이러한 블록 체인의 기술을 활용한 사례 중 하나이지, 비트코인 = 블록체인 같은 구조는 아닙니다.
1-2 블록 체인의 구조
블록은 계속해서 생성되며 다음과 같은 구조를 띄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기 블록이 존재하며 이후 생겨나는 블록은 맨 처음에 이전 블록의 해쉬를 저장하며 가르키는 구조를 가지며, 이후 증명을 할 때 모든 블록의 정보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여 증명하기에 해커의 입장에서 이 모든 블록을 수정한다는 것은 시간적으로 매우 불가능하다 라는 것이 블록 체인의 장점 중 하나 입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 앞서 말했듯이 비트코인입니다. 트랜젝션을 통해 거래 장부를 형성하여 이전의 은행과 같이 중앙형이 아닌 탈 중앙형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거래를 하기 전 모든 블록의 정보를 가져와 해당 거래가 올바른 것 인지에 대해 증명하기에 투명한 거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자신의 자산에 대한 신뢰성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포스팅의 주된 내용은 이더리움을 통한 블록 체인 서버 구축이므로 간략히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는 분이 많으면 추가적으로 수정하여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2. 이더리움
2-1. 이더리움이란?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한 하나의 오픈소스 플랫폼인데요. 흔히 불리는 Ether가 이덜이움의 기술을 토대로 나온 가상화폐입니다. 이더리움은 C++, 자바, 파이썬, GO 등의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해당 플랫폼을 통해 가상화폐뿐만아니라 전자투표, SNS등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제가 알려드릴 것은 이더리움의 기술 중 Geth라는 블록체인 서버를 통해 개인 사설 망 (private network)를 통해 개인이 직접 서버를 구축하여, 트랜젝션과 채굴을 통해 블록들이 어떻게 생성되고 쌓이게 되는 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입니다. 이들은 거래에 대한 수수료를 Gas를 통해 책정되며, 실제 가상 화폐의 거래와 동일한 구조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간략히 블록 체인과 이더리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제가 블록 체인을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실습한 것을 토대로 작성할 예정입니다.
정보 전달에 있어 미흡한 부분이 있더라도 좋게 봐주셨으면 합니다.
해당 게시글에 오류나 문제가 있으시면 말씀해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구축에 대한 포스팅은 다음 포스팅부터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ps.
다음 포스팅에 앞서 해당 서버는 Ubuntu 16.04 버전에 구축하였으며, Geth는 go 언어를 기반으로 하기에 go언어와 geth를 설치하여 작동됨을 미리 알려드립니다.